중국의 중장기 경제개혁 과제와 전망 (China's Long-Term Economic Reform: Perspectives and Implications)

517 Pages Posted: 24 May 2014

See all articles by Pyeong Seob Yang

Pyeong Seob Yang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Su Yeob Na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Soojoong Nam

Kongju National University

Sang Hun Lee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Ho Lim Yoo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Hyun-Jun Cho

Konkuk University;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Eui-Hyun Choi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Hyukku Lee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Youngseok Jang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Date Written: December 30, 2013

Abstract

Korean Abstract: 금융개혁 과제 중국정부는 자유화ㆍ국제화ㆍ민영화를 금융개혁 방향으로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개혁을 추진할 계획이다. 첫째, 중국은 금융시장의 효율적 자원배분 기능이 정상화되도록 할 예정이다. 둘째, 중국정부는 금융의 실물경제 지원체제 강화와 관련하여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환경 개선을 추진한다.

셋째, 중국정부는 금리자유화를 단계적으로 추진하려 한다. 넷째, 중국은 환율이 시장에서 결정되도록 자유화하는 동시에 외환규제를 완화할 방침이다. 다섯째, 중국정부는 향후 발생할 금융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들을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금융감독 시스템의 선진화를 추진한다.

재정개혁 과제 현재 중국의 재정제도는 1994년 단행된 분세제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 분세제는 중앙정부 재정수입의 안정적인 증가를 도모하고 중앙정부의 거시경제 조절능력의 제고를 위해 실시되었으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사이의 행정관리권(事權)과 재정권(財權)의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세원에 대해 중앙정부에 귀속되는 국세, 지방정부에 귀속되는 지방세, 그리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함께 공유하는 공동세(共享稅)로 구분하여 각각 징수하였다. 그러나 재정력이 중앙정부로 집중되고 지방정부의 재정수입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어려운 조세구조로 인해 지방정부의 재정적자가 빠르게 확대되었다.

현재의 지방정부 채무가 지출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한 수입에 기인하는 구조에서 출발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지방정부의 채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앙과 지방의 조세분배율 조정이나 부동산세 징수 등의 재정개혁을 통해 지방정부에 자체적인 세원이나 수입원을 제공해 지방정부의 재정 자립능력을 강화해야 한다.

세제개혁 과제 현행 중국의 조세제도는 수평적 공평의 달성에는 유리하나 수직적 공평의 실현에는 불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뿐 아니라 내수 소비의 확대를 통한 글로벌 불균형 문제의 해소에도 불리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중국의 세제개혁은 수직적 공평의 실현을 통해 중국 국내에서의 소득불균형ㆍ조세부담의 불공평ㆍ글로벌 불균형문제를 해소하고 자원의 최적배분을 통한 정책 목적의 달성(사회주의 국가의 완성)에 방점을 둘 것으로 예상되는바, 향후 중국정부는 구체적으로 세제를 개편해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국유기업 개혁 과제 2013년 11월 제18기 3중전회의 ‘결정’ 내용 가운데 국유기업 개혁과 관련해 크게 두 가지의 두드러진 점이 있다. 하나는 시장 역할의 재정의이고, 다른 하나는 공유제와 비공유 경제의 위상을 대등하게 설정하면서 혼합소유제를 중시한 것이다. 이로써 제5세대 지도부의 국유기업 개혁의 기본원칙은 드러났으나, 구체적인 시행방침이나 세칙 등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번 3중전회에서 ‘전면심화개혁영도소조’를 구성한 것은 중국의 점진주의적(gradualistic)인 개혁 스타일의 연속이다. 이것은 아직 구체적인 계획과 조치가 마련되지 않았음을 의미하고, 또 하나는 그것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음을 드러낸다.

시장개혁 과제 개혁ㆍ개방 이후 중국은 점진적으로 계획경제에서 시장경제로 그 시스템을 이행시켜 왔다. 1990년대 초까지 중국의 시장개혁은 주로 왜곡된 가격제도를 시정하여 공급부족 경제를 탈피하는 것이었으며, 또한 그 후 십 년간은 개방과 경쟁을 통한 효율성 제고를 추구하였다. 2000년도 이후의 개혁은 좀 더 시장경제의 질서를 갖추기 위한 방향으로 조정이 진행되었다. 현재의 중국경제가 계획경제의 모습에서는 벗어났지만, 그렇다고 완전한 시장경제의 모습을 갖추고 있지는 않다.

공정한 시장경쟁을 위한 개혁조치의 하나가 바로 반독점법의 제정이다. 중국에서의 독점은 시장 내 자연발생된 민간기업에 의한 독점과 정부에 의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국유기업에 의한 독점(행정독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반독점 규제개혁은 외자기업을 비롯한 민간부분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한 독점을 어떻게 규제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이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외자기업이 차별적인 대우를 받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었다. 이런 이유로 앞으로의 반독점 개혁은 법 적용에서의 공평성과 일관성이 중요해질 것이다.

가격개혁 과제 중국은 개혁ㆍ개방 이후 정부 주도의 가격통제에 따른 자원배분의 비효율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장경제 가격체제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현재의 지도부에서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발전방식의 전환을 위해 자원배분에 있어서 시장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으며, 자원ㆍ에너지 가격 및 농산물 가격 시장화를 위한 가격결정 메커니즘에 대한 개혁이 진행되고 있다.

노동ㆍ호적 제도 개혁 과제 중국 국무원은 2013년 2월에 발표한 「소득분배제도 개혁 심화에 관한 약간의 의견, 이하 ‘약간의 의견’이라고 함)」을 통해 민생개선과 분배제도 개혁의 청사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동과 호적제도 개혁을 통해 민생정책의 내용과 그 방향을 분석하였다.

대외경제 개혁 과제 중국 신지도부의 대외경제정책 추진 방향은 크게 대외무역 발전방식 전환, 주동적 개방전략, 적극적 통상ㆍ지역협력 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국내경제 발전방식의 전환에 부응하여 대외경제 발전방식의 전환을 도모하기 위해 수출산업의 고도화 및 수출ㆍ수입의 균형 발전을 추진한다. 또한 개방을 통해 국내경제의 개혁을 유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는바, 상하이 자유무역시험구는 이러한 주동적 개방전략 추진의 대표적인 예로 평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세계경제의 지역주의와 신보호무역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적극적인 통상 및 FTA 전략을 추구할 것이다. 중국이 이러한 전략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과제로는 외국인투자와 해외투자 관련 개혁, 위안화 국제화를 위한 자본항목의 자유태환과 환율제도 개혁, 중국의 FTA 추진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

중국의 중장기 경제개혁 방향과 시사점 본 연구의 분석 결과 향후 중국의 경제개혁 추진 방향은 다음과 같다. 국유기업 및 국유자산에 대한 개혁에서는 다양한 소유제를 발전시킨다는 것이 기본방향이며, 금융 분야 개혁의 주요 내용은 진입제한 완화, 금리 시장화, 자본시장 개혁, 위안화의 국제화를 위한 관련 제도 개혁을 포함하고 있다. 재정 및 세제 개혁에 있어서는 새로운 경제발전 방식의 전환에 부합하는 개혁을 추진해나갈 것이며, 가격결정 과정에서 정부의 개입을 축소하고, 시장에 의한 가격결정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가격개혁이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도시와 농촌의 일체화 발전을 위해 토지제도 개혁, 호적제도 개혁을 추진하고, 개방을 통한 국내 개혁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이 이루어질 것이다. 그 밖에 노동자에 대한 분배를 강화하고 재분배를 통한 소득불균형 해소를 추진하며, 민생과 사회분야 개혁도 추진될 전망이다.

English Abstract: This report examines the content and prospects of Chinese economic reforms in finance, fiscal systems, taxation, SOEs, market, pricing, labor/hukou, and international economy; followed by proposed implications and responses for Korea.

According to the analyses of this report, the direction of the Chinese economic reforms is as follows. The main theme in the SOE reform, for example, is diversification of ownership. Financial reforms include abolition of limits to market access, interest rate marketization, capital market reforms, and reforms related to RMB internationalization. For fiscal systems and taxation, an appropriate reform in accordance with the transformation of economic development mode will be adopted; and in order to establish the price mechanism determined by the market, government intervention in the price-decision process will be reduced. In terms of rural-urban integration, land reform and hukou reform will be promoted and a variety of demonstrative actions will be undertaken to expedite domestic reform following opening-up policies. In addition, to improve people's livelihood, social reforms such as increased distribution to laborers and resolution of the income inequality issue will be enacted.

China's economic reform have important implications not only for Korean enterprises in China but also for Korea's external trade with China. Foremost, China’s economic growth rate is expected to be slowed due to extensive economic reforms. At this point, Korea is noticing a marked slowdown in the rate of increase of its exports to China. Moreover, Korea should be prepared as the reforms in China may become a double-edged sword in terms of investment and export to China. On one hand, the Chinese market will provide more opportunities in new fields, in case the reform leads to improved investment systems and enhanced level of openness. On the other, increased factor-price could develop into a big threat for Korea.

It is necessary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concentrate efforts on creating an institutional framework to improve the environment for economic cooperation with China in order to counteract the effects of extensive economic reform policies of the new Chinese government. In this context, the Korea-China FTA will become key and during the negotiation, Korea should seek ways to take advantage of the progress from China's long-term economic reform and changes in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Note: Downloadable document is in Korean.

Keywords: Chinese economy, Financial reforms, Fiscal reforms, Tax reforms, State-owned Enterprises, China

Suggested Citation

Yang, Pyeong Seob and Na, Su Yeob and Nam, Soojoong and Lee, Sang Hun and Yoo, Ho Lim and Cho, Hyun-Jun and Choi, Eui-Hyun and Lee, Hyukku and Jang, Youngseok, 중국의 중장기 경제개혁 과제와 전망 (China's Long-Term Economic Reform: Perspectives and Implications) (December 30, 2013). KIEP Research Paper No. Policy Analysis-13-17, Available at SSRN: https://ssrn.com/abstract=2439057 or http://dx.doi.org/10.2139/ssrn.2439057

Pyeong Seob Yang (Contact Author)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 email )

[30147] Building C, Sejong National Research Compl
Seoul, 370
Korea, Republic of (South Korea)

Su Yeob Na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 email )

[30147] Building C, Sejong National Research Compl
Seoul, 370
Korea, Republic of (South Korea)

Soojoong Nam

Kongju National University ( email )

527 Yesan
340-800 Choongnam
Korea

Sang Hun Lee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 email )

Seoul 137-602

Ho Lim Yoo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 email )

Seoul 137-602

Hyun-Jun Cho

Konkuk University ( email )

Seoul 143-701, Korea
120 Neungdong-ro, Gwangjin-gu
Seoul, 143-701
Korea, Republic of (South Korea)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Seoul 137-602

Eui-Hyun Choi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 email )

Seoul 137-602

Hyukku Lee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 email )

Seoul 137-602

Youngseok Jang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 email )

Seoul 137-602

Do you have negative results from your research you’d like to share?

Paper statistics

Downloads
93
Abstract Views
931
Rank
502,806
PlumX Metr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