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아세안 투자 특성과 시사점: 해외 자회사 활동과 모기업 자료를 연계한 분석(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Korea’s Investment in ASEAN: an Analysis Linking Foreign Subsidiary Activities and Parent Data)

130 Pages Posted: 7 Oct 2020

See all articles by KIEP Submitter

KIEP Submitter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Jinyoung Moon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Hyoungmin Han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Hanbyul Ryu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Nayoun Park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ChiHyun Yun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Mi Lim Kim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Yoon Ah Oh

affiliation not provided to SSRN

Date Written: December 30, 2019

Abstract

Korean Abstract: 중국의 경제성장과 임금상승, 그리고 장기화된 미·중 통상마찰은 생산기지 거점으로서 중국의 이점을 약화시켰고, 포스트 차이나 생산기지의 필요성을 증가시켰다. 이에 아세안은 저렴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주요 글로벌 투자대상국으로 부상하였고, 아세안으로의 글로벌 기업 생산거점 이동이 더욱 확대되는 양상이다. 이러한 추세 속에 한국기업 또한 아세안 투자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1980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의 아세안 누적 투자금액은 중국의 누적 투자금액과 비등할 정도로 성장하였다. 아세안이 한국의 주요 투자대상국으로 부상함에 따라, 아세안 투자 성과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미시자료의 한계로 인해 한국의 아세안 투자에 대하여 데이터에 기반한 실증연구를 수행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한국수출입은행은 기업의 해외투자에 대해 가장 신뢰도 높은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나, 「외국환거래법」 22조의 비밀보호 조항을 근거로 전수 자료를 제공하 지 않는다. 한편 통계청의 기업활동조사는 50인 이상의 기업에 한하여 자료를 제공하므로 중소기업 정보가 부재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해외진출기업과 국내 모기업 자료를 연계한 통합적인 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자료가 구축된다면, 이를 바탕으로 국내기업의 아세안 투자 진출 특성 및 영향 등에 대한 실증 분석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코트라 해외진출기업 자료와 한국기업 데이터를 사용하도록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한국의 아세안 투자 현황과 구조를 분석한다. 2005~18년 한국의 아세안 누적 투자액은 545억 달러로 크게 성장하면서 한국의 총 해외직접투자에서 약 14%를 차지하였다. 같은 기간 한국의 아세안 투자는 연평균 17% 증가하였고, 이는 한국의 중국 투자 연평균 증가율인 4%를 크게 상회하는 수치다. 제조업에 집중되어온 한국의 아세안 투자는 금융 및 보험업, 도매 및 소매업, 광업 등으로 다양화되는 추세이지만, 투자대상국은 베트남 중심으로 변화하였다. 제3장에서는 코트라 해외진출기업 데이터와 한국기업 데이터 자료 구축 방법론과 기초 통계를 담는다. 코트라 해외진출기업 자료는 모기업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모기업의 사업자등록번호를 매개변수로 이용하여 코트라 해외진출기업 데이터와 한국기업 데이터를 결합한다. 한국의 기업은 생산 목적의 단독투자 형태가 주를 이루며, 제조업과 사업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아시아 지역에진출하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해외 자회사를 가진 전기ㆍ가스ㆍ수도 공급업기업의 경우 가장 높은 평균 자본과 매출액을 보인다. 제4장에서는 구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국의 동남아시아 진출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한국기업은 중국과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진출하는 모습을 보인다. 중국의 해외진출기업 수는 연도별 변화의 폭이 큰 반면, 동남아시아의 경우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한국기업이 동남아시아에 가장 많이 진출한 산업은 의복 제조업인 반면, 중국에는 전자부품, 통신장비 등이 가장 많이 진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생산기지로서 중국과 동남아시아의 능력 차이를 시사한다. 중국과 베트남에 진출한 기업의 모기업 특성을 살펴보면 중국과 베트남에 모두 진출한 기업은 평균 매출액과 영업이익률이 높지만, 중국 단독 진출기업에 비해 베트남에만 진출한 기업은 두 지수 모두 낮은 모습을 보인다. 본 연구는 그동안 미시적 연구가 어려웠던 한국 해외진출기업의 다양한 동학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를 구축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분석자료와 분석방법 측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코트라 해외진출기업 데이터는 해외진출 기업정보와 모기업 정보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장점을 갖지만, 사업자등록번호와 같이 모기업 식별을 위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향후 정책 연구를 위하여 해외진출기업 데이터를 구축할 때 구체적인 모기업식별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기존의 해외진출 자료를 엄밀히 검증하여 진출 여부까지 확장할 수 있고, 기업의 사업보고서를 활용하여 해외진출 자회사 정보도 추가할 수 있다. 더불어 현재 2012부터 2016년까지 구축된 기간을 확장하여 10년 이상의 시계열을 구축하는 것도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의 동남아시아 진출기업의 특징과 모기업의 재무적 성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구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향후 해외직접투자의 국내 고용과 산업 경쟁력 영향, 해외 생산비용 상승과 모기업의 재무적 성과 관계, 해외진출기업에 대한 정부 지원정책의 효과 등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다.

English Abstract: China’s economic growth and wage hikes, and prolonged trade fric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have weakened China’s advantage as a production base hub, and increased the need for post-China production bases. As a result, ASEAN has emerged as a major global investment destination based on its cheap labor, and the trend of global companies relocating their production bases to ASEAN will likely become more pronounced. Amid this trend, Korean companies are also actively investing in ASEAN, and Korea’s accumulated investment in ASEAN from 1980 to 2018 has grown to an extent comparable to China’s accumulated investment. With ASEAN emerging as South Korea’s main investment destination,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performance of ASEAN investment has been raised. However, due to the lack of micro data, it is difficult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f this investment based on data. The Export-Import Bank of Korea has the most reliable information on companies’ overseas investment, but does not provide micro data due to the confidentiality clause of Article 22 of the Foreign Exchange Transaction Act. Meanwhile, the corporate activity survey published by the National Statistics Office of Korea provides data on companies with more than 50 employees, but has the disadvantage of lacking information on small busine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integrated data linking the data of overseas companies and domestic parent companies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Once the data is colle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will become possibl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impact of domestic companies’ investment in ASEAN. For this purpose, we use overseas companies data and Korea Enterprise Data (KED) released by the Korea Trade-Investment Promotion Agency KOTRA).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Chapter 2, we look into the trends and structure of Korea’s investment in ASEAN. Korea’s accumulated investment amount in ASEAN during 2015-18 recorded 54.5 billion USD,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14% of Korea’s total outward direct investment. In the same period, the annual average of Korean FDI outflows to ASEAN increased by 17%, largely outpacing the average annual growth rate of 4% in investments to China. Korea’s major sectoral investment in ASEAN has been diversified from manufacturing into finance, insurance, wholesale, retail, and mining, mainly focused on Vietnam. Chapter 3 introduces the methodology and basic statistics of the KOTRA Overseas Enterprises Data and Korean Enterprises Data. The KOTRA Overseas Enterprises Data has information on parent companies and we have combined KOTRA’s data with parent companies’ corporate registration number as a parameter. Korean firms mostly advance into ASEAN as an independent investment for production, concentrating on manufacturing and business services. In addition, utilities companies with overseas subsidiaries show the highest average capital and sales. In Chapter 4,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investment are analyzed based on the KOTRA Overseas Enterprise Data combined with the corporate registration numbers of parent companies. The analysis shows that Korean firms are mainly expanding into China and Southeast Asia. While the number of Korean enterprises entering China is significantly changing by year, the number entering into ASEAN shows steady growth. The Korean enterprises are mostly advancing into ASEAN in the garment manufacturing industry, which indicate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productivity between China and ASEAN since most Korean firms produc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choose to enter China. The parent companies expanding into both China and Vietnam have higher average sales and profit but the enterprises entering only Vietnam recorded lower figure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stablished a database which allows us to examine various dynamics of Korean companies that have advanced overseas. However, the established database has certain limitations, such as missing accurat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parent company. For future policy research, it will be necessary to collect specific par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dd additional overseas subsidiaries’ information, and expand its time series. Through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ompanies operating in Southeast Asia and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their parent companies. Based on the database established through this study, various analyses are available through future research, such as the impac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domestic employment and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e relationship between increasing cost of overseas production and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parent company, and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policy on companies advancing overseas.

Note: Downloadable document is in Korean.

Suggested Citation

Submitter, KIEP and Moon, Jinyoung and Han, Hyoungmin and Ryu, Hanbyul and Park, Nayoun and Yun, ChiHyun and Kim, Mi Lim and Oh, Yoon Ah, 한국의 아세안 투자 특성과 시사점: 해외 자회사 활동과 모기업 자료를 연계한 분석(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Korea’s Investment in ASEAN: an Analysis Linking Foreign Subsidiary Activities and Parent Data) (December 30, 2019). KIEP No. 세계지역전략연구 19-09 , Available at SSRN: https://ssrn.com/abstract=3700782 or http://dx.doi.org/10.2139/ssrn.3700782

KIEP Submitter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 email )

Building C, Sejong National Research Compl
Sejong, 30147
Korea, Republic of (South Korea)

HOME PAGE: http://www.kiep.go.kr/eng/index.do

Jinyoung Moon (Contact Author)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 email )

[30147] Building C, Sejong National Research Compl
Seoul, 370
Korea, Republic of (South Korea)

Hyoungmin Han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 email )

[30147] Building C, Sejong National Research Compl
Seoul, 370
Korea, Republic of (South Korea)

Hanbyul Ryu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 email )

[30147] Building C, Sejong National Research Compl
Seoul, 370
Korea, Republic of (South Korea)

Nayoun Park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 email )

[30147] Building C, Sejong National Research Compl
Seoul, 370
Korea, Republic of (South Korea)

ChiHyun Yun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 email )

[30147] Building C, Sejong National Research Compl
Seoul, 370
Korea, Republic of (South Korea)

Mi Lim Kim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 email )

[30147] Building C, Sejong National Research Compl
Seoul, 370
Korea, Republic of (South Korea)

Yoon Ah Oh

affiliation not provided to SSRN

Do you have negative results from your research you’d like to share?

Paper statistics

Downloads
29
Abstract Views
363
PlumX Metr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