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이후 무역자유화와 한국 제조업 생산성 변화 (Trade Liberalization and Manufacturing Productivity Changes in Korea During the Past Three Decades)

KDI Policy Forum No. 278(2020-03), kor.

9 Pages Posted: 4 Dec 2020

See all articles by Yeongkwan Song

Yeongkwan Song

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

Date Written: July 1, 2020

Abstract

Korean Abstract:
■ FTA 등 무역자유화 정책의 중요한 정책목표 중 하나는 교역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통한 경제 전반의 생산성 향상이 되어야 할 것임. 교역산업의 생산성 향상은 ① 존속기업의 생산성 증가와 ② 생산성 낮은 기업의 퇴출을 통한 산업 전반적 생산성 증가로 가능

- 교역산업의 생산성 향상은 ① 존속기업의 생산성 증가와 ② 생산성 낮은 기업의 퇴출을 통한 산업 전반적 생산성 증가로 가능

■ 한국의 무역자유화 정책의 효과를 교역산업의 존속기업 생산성 향상이란 측면에서 평가해 본 결과, EUㆍ미국ㆍ중국 등 주요 교역국과의 FTA 체결이 이 결과를 견인한 증거를 찾을 수 없었음.

■ 퇴출을 통한 산업생산성 향상이란 측면에서 모든 산업에서 퇴출이 총요소생산성 증가에 긍정적이었다는 점은 확인하였지만, 이것이 무역자유화의 결과인지에 대해서는 추가적 연구 필요

■ 경제의 생산성 향상이란 주요 정책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향후 무역자유화 정책이 ① 존속기업의 생산성 증가와 ② 생산성 낮은 기업의 퇴출을 견인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함. 무역자유화 정책으로 인한 수출입 확대는 교역산업의 사업 전망을 밝게 하여 기업의 적극적인 생산성 증대 노력을 견인할 수 있음.

- 무역자유화 정책으로 인한 수출입 확대는 교역산업의 사업 전망을 밝게 하여 기업의 적극적인 생산성 증대 노력을 견인할 수 있음.

■ 무역자유화로 인한 퇴출의 긍정적 영향을 높임과 동시에 사회에 주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무역조정지원제도의 중심을 기업 지원에서 근로자 지원으로 이동하고, 실직 근로자를 위한 재교육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

English Abstract:
■ One of the key goals of trade policy, which includes FTAs, should be the enhancement of productivity in the overall economy through the improved productivity of the tradable sector.

- This can be achieved by ① enhancing the productivity of existing firms, and ② eliminating lowproductivity firms to improve overall industrial productivity.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Korea’s trade policies in terms of bolstering the productivity of existing firms in the tradable sector. It shows that Korea’s FTAs with major trade partners, such as the EU, US and China, have failed to provide meaningful impetus.

■ As for raising productivity through firm exits, this study confirms that it has a positive impact on raising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across industry.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substantiate that this is owed to trade liberalization.

■ To raise overall economic productivity, future trade policies should be designed ① to enhance the productivity of existing firms, and ② expel those with low productivity. A trade policy-driven expansion of imports and exports could brighten the prospects for the tradable sector, encouraging firms to boost productivity.

- A trade policy-driven expansion of imports and exports could brighten the prospects for the tradable sector, encouraging firms to boost productivity.

■ It is imperative that efforts are made to increase the positive effects of trade liberalization and minimize the negative effects on society by shifting the focus of the current Trade Adjustment Assistance system towards supporting workers instead of firms, and improving retraining and vocational programs for the unemployed, among others.

Note: Downloadable document in Korean.

Suggested Citation

Song, Yeongkwan, 1990년대 이후 무역자유화와 한국 제조업 생산성 변화 (Trade Liberalization and Manufacturing Productivity Changes in Korea During the Past Three Decades) (July 1, 2020). KDI Policy Forum No. 278(2020-03), kor., Available at SSRN: https://ssrn.com/abstract=3741141

Yeongkwan Song (Contact Author)

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 ( email )

263 Namsejong-ro
Sejong-si 30149
Korea, Republic of (South Korea)

Do you have negative results from your research you’d like to share?

Paper statistics

Downloads
21
Abstract Views
214
PlumX Metrics